박민수님 영상 요약
신사임당 영상 링크
1년중 10일만 매매하는 직장인 투자법 (직장인 박민수)
분기마다 10%씩 수익내는 주식 고르는 법
1. 당기순이익
- 과거 : 3~5년간 연간 당기순이익이 흑자
: 최근 1년간 분기별 당기순이익이 흑자
- 미래 : 뉴스, 공시 등으로 미래 순이익을 예상한다 (실적개선 이슈 등)
2. 시가총액
- 증자, CB발행 등 주식 수를 늘리면 시총에 더해준다
- 그러나 저런 이슈가 없는 걸 사는게 마음 편하다
- 공시에서 알 수 있다
3. PER
- 1,2번에서 새롭게 구한 당기순이익과 시가총액으로 PER도 새롭게 구한다.
- PER = 시가총액/당기순이익
- 현재 PER과 비교해서 낮아지면 투자를 고려한다.
4. 재무비율
- 부채비율 : 부채/자기자본 ->100%이하면 OK
- 당좌비율 : 현금성자산을 얼마나 갖고있는지. 유동자산/유동부채 ->100% 이상이면 OK
- 유보금 : 많을수록 좋으나 필수는 아님
5. 뉴스, 공시
- 호재 : 실적개선, 자회사 상장, M&A 예정 등
- 악재 : 최대주주가 소송에 걸려있거나, CB,BW가 있으면 탈락
6. 배당
- 시가배당률 : 배당금/현재주가 -> 8% 이상
- 네이버에서 '배당주' 검색(링크)시 배당률 순으로 정렬됨
- 꾸준하게 배당 주는지, 이익 늘면 배당 늘리는지
7. 지분율
- 최대주주의 지분이 많으면 배당이 많다
- 최대주주의 지분이 낮으면 부실기업의 경우 증자 때문일 것. 책임감도 없다.
- 그러나 최대주주 지분이 낮은데 우량기업인 경우 서로 경영권 다툼하면서 싸우면 주가가 올라감
- 지분이 5%넘으면 1%변동 시마다 보고해야 하는데, 이 때 매수 이유를 단순투자인지, 경영권 참여인지 밝혀야 함
- 경영권 참여일 경우 M&A 이슈나 경영권 다툼이 있음
- 최대주주 자주 바뀌면 탈락
8. 매출채권 회전율, 재고자산 회전율 => 일정하게 유지되어야
- 매출채권 : 외상값. 갑자기 늘면 1) 자회사를 통한 허위매출일 수 있다. 2)못받을 수 있다
- 재고자산 : 안 팔린 재고들. 많으면 안된다.
- 매출채권과 재고자산은 변동성을 본다. 갑자기 늘거나 경쟁사 대비 높으면 의심
9. PBR낮으면 좋지만 크게 중요하지 않음
- PBR = 시가총액/자기자본
10. 내 생각
1) 후보 중 더 매력적인 종목
2) 언제, 얼마에 매수, 매도
3) 언제 추가 매수할지
저자(샌드타이거샤크)의 저서
'경제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신사임당-박세익 전무님 인터뷰 요약 (0) | 2020.06.16 |
---|---|
한국주식 미국주식 해외 ETF 세금 간단정리 (0) | 2020.06.15 |
레이 달리오 <30분만에 배우는 경제 작동 원리> (0) | 2020.05.28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