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연금

5. DC형 퇴직연금, 안전자산 30%는 뭘로 채웠어?

by 김직딩' 2020. 7. 8.

"ARIRANG 미국장기우량회사채"로 채웠습니다. 

 

ARIRANG미국장기우량회사채 ETF가 가장 좋아서가 아니라 그냥 선택할 수 있는 것 중에 제일 나았습니다. 

뭐보다 나았냐면, 현금(원화)를 들고 있는것보다는 그나마 저게 제일 낫다.. 이거죠 

 

DC형 퇴직연금의 경우 총금액의 30%를 안전자산으로만 매수해야 합니다. 안그래도 ETF 매매할 게 별로 없는데 저 제한까지 있으면 매매할 수 있는 폭은 아주 줄어듭니다. 

그래도 제가 원했던 조건

1. 관련 ETF

2. 1번이 없다면 달러표시 자산 가진 ETF  입니다. 

 

왜냐하면 기왕 안전자산 고르는거, 확실한 안전자산을 고르고 싶었습니다. 

주가가 하락할 때 이익을 보거나, 적어도 손실을 덜 보는 상품을 원했고,

은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주가가 하락할 때 값이 오릅니다.  

금이 없다면 달러가 대안입니다. 위기 때 환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달러표시되 채권이 있다면 손실을 줄일 수 있습니다. 

ETF를 고수하는 건 수수료가 저렴하기 때문입니다. 퇴직연금은 장기투자이므로 수수료 차이도 큽니다.

 

호기롭게 조건을 걸었으나, 필터에 걸리는 상품은 단 세 개 입니다. 

 

퇴직연금으로 매수 가능한 달러 표시 ETF

 

TIGER 미국달러단기채권액티브

이름 그대로

1) 미국 달러로 거래되는

2) 단기 채권

3) 액티브로 투자되는 상품입니다.

 

주로 애플, 마이크로소프트 등 미달러 표시 채권이나 국내기업이 발행한 달러표시 채권에 투자합니다. 

수수료도 0.3%로 저렴한 편이고

환율 헷지가 안되어 있어서 환율변동영향을 그대로 받기에 경제위기시 환율 높아지면서 장점이 됩니다. 

 

그러나 액티브 펀드인게 좀 걸리더군요. 채권인데 액티브라니?

액티브 펀드란 펀드매니저가 적극적으로 개입해 시장수익률 이상을 내는 것이 목표인 펀드입니다. 

저는 제 자산에 타인이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걸 좋아하지 않습니다.. 그랬다면 이렇게 오랜기간 ETF를 하나하나 찾아가면서 들지 않았겠죠, 그냥 펀드 들어놓고 두고있지..

실제로 액티브 펀드보다 지수 그대로 따라가는 인덱스 펀드 수익률이 더 좋다는 평가가 많습니다. 

 

그래서 TIGER 미국달러단기채권액티브는 포트에서 제외합니다. 

 

 

ARIRANG 미국장기/단기우량회사채

 

남은 선택지가 단 두개인 상황에서 이 두 ETF는 종목구성도 비슷하고 장기/단기 차이만 납니다. 

그래서 수익률만 비교해서 선택했습니다. 모든기간에서 ARIRANG 미국장기우량회사채가 ARIRANG 미국우량회사채보다 높았습니다. 

 

ARIRANG 미국장기우량회사채 수익률

 

 

 

ARIRANG 미국단기우량회사채 수익률

 

 

그래서 ARIRANG 미국장기우량회사채를 포트에 넣었습니다. 

제 글이 좀 어려울 수도 있는데, 사소한 거라도 질문남겨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. 

 

 

*상품을 권유하는 글이 아니며 투자의 판단은 본인에게 있습니다

 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