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투자할 수 있는 상품이 무엇인가?
매수가능 투자상품 | 연금저축 | 퇴직연금 |
펀드 | 매수가능 | |
주식 | 단, 일부 ETF는 매수가능 | |
ETF | 인버스, 레버리지형 제외한 모든 ETF | 주식편입비율이 40%를 초과하는 ETF는 최대 70%까지 매수 가능 |
※ 퇴직연금, 연금저축계좌로 투자가능한 ETF 목록은 지난편(2편)에 있습니다.
2. 펀드의 종류
○ 라이프사이클 펀드 : 연령대에 따라 주식과 채권 비중이 변하는 펀드. 대표적으로 TDF(Target Date Fund, 젊을 땐 주식비중이 많다가 해마다 채권비중이 높아짐, 70% 제한을 받지 않기 때문에 100% 매입 가능)
○ 공격적 밸런스드 펀드 : 주식70% 채권30% 평생 유지. 주가가 올라 70% 넘으면 주식 팔아 비율 유지
○ 보수적 밸런스드 펀드 : 채권이 70프로, 주가가 30프로로 이 비율을 계속 유지
○ ELB : ELS의 채권 버전
○ ETF : 주식시장에서 거래가능한 펀드
3. 펀드 고르는 기준
○ 수익률(과거성과), 변동성*(위험도, 표준편차), 수수료(총 운용보수) 등
*위험도(표준편차) 낮을수록 수익률의 변동성이 작으므로 낮을수록 좋습니다.
○ 투자 전에 투자기간, 목표수익률*, 손절매 기준 정하기
* 비교지표(코스피 200등)와 비교해서 어느정도 이익인지, 그 비율로 목표수익률 정할 수도 있습니다.
4. 계좌 운용 방법
○ 매년 연말/연초 수익률 확인 하고 포트폴리오를 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.
○ 미루지 말고 투자해야 합니다.
5. 알아두면 좋은 용어의 정의 (증권사 가기 전에 이 용어들은 꼭 알고갑시다)
○ 부담금 : 해당 계좌에 납입된 원금
○ 운용수익 : 부담금을 굴려서 얻은 수익
○ 적립금 : 부담금 + 운용수익
○ 수익률 = 투자기간 수익금(운용수익과 다름)/내가 넣은 돈(부담금)
* 투자기간수익금 = 적립금-부담금-수수료
* 금융회사마다 수익률 제시하는 방법이 다릅니다. 수수료 포함할수도, 아닐수도 있습니다.
○ 펀드 뒤에 붙는 알파벳 의미
- A형 : 처음에 판매수수료가 높고, 매년 수수료는 저렴 -> 장기투자시 유리
- C형 : 처음에는 판매수수료 없는데 연간 운용보수가 높음
-e : 온라인 펀드로 수수료 저렴
=> 퇴직연금에선 A가 있으면 A를 가입, 없으면 Ce가입
참고 자료
- 한국경제 유투브 중 퇴직연금 영상(특히 무협만화 편이 한번에 정리하기 좋습니다)
'연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5. DC형 퇴직연금, 안전자산 30%는 뭘로 채웠어? (0) | 2020.07.08 |
---|---|
4. 퇴직연금 해외ETF매매하는 방법(미래에셋대우) (0) | 2020.05.22 |
2. 퇴직연금 ETF 어떤 방법으로 조사했어? 다른 종목은 없어? (0) | 2020.05.18 |
1. 다 됐고, DC형 퇴직연금은 뭘 가입해야 하는데? (0) | 2020.05.17 |
댓글